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0.06 조건문

조건문


1. if
2. else if
3. switch

1. if: else를 뒤에 붙여서 사용 가능

예) if(조건문){ 참일 경우 출력물1 }else{ 출력물2 }
  : if( a > 1 & a < 10){ System.out.println("2,3,4,5,6,7,8,9"); }
  : if( 0 ){ System.out.println("0입니다.")}  → 에러 발생: 0은 t/f 따질 수 없음

2. else if

예) if(조건문1){ 참일 경우 출력물1 }else if(조건문2){ 참일 경우 출력물2 }

3. switch

 - switch문은 if~else문과 달리 범위를 지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
 - if문과 switch문은 서로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다
 - 사용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

예)
public class Example1{
    public static void main(String[] args){
        if(args.length != 1){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ln("0~100사이의 값을 입력하시오.");
        return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}    
}
cs


※ 유효성 검사: 인자값을 하나 이상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류를 미리 차단
※ args.length: args(인자값)에 .을 통해 정보에 접근, 문자열을 구성하는 글자의 수를 파악할 수 있음
※ return: "끝"이라는 의미를 갖는 키워드(예약어)

int i = Integer.parseInt(args[0]);

if(i >= 90 & i <= 100)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수입니다.");
}
else if(i >= 80 & i < 90)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우입니다.");
}
else if(i >= 70 & i < 80)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미입니다.");
}
else if(i >= 60 & i < 70)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양입니다.");
}
else if(i < 0 | i >100){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");
}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switch문으로 표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if(i >100 | i < 0){
  System.out.println("0~100사이의 값을 입력하시오.");
return;
  }
  int i = Integer.parseInt(args[0]);

  String grade = "수";

switch(i/10){

case 10:
case 9:
break;

case 8:
grade = "우";
break;

case 7:
grade = "미";
break;

case 6:
grade = "양";
break;

default:
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을 확인하세요");
break;
}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 "+Integer.parseInt(args[0])+"점은"+grade+"입니다.");



※ if문과 switch문은 서로 바꿔서 표현할 수 있다
   다만, 복사&붙여넣기가 반복된 구체적인 코딩은 유지, 관리를 어렵게 하는 코딩이기에
   유연하고 효율적인 코딩 방식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딩을 생각하도록 노력하자